BIM운용전문가 2급 합격했다!
8월 14일에 시험을 보고 이건 틀렸다고 낙담했는데 의외의 결과였다.
그래서 후기도 안쓰고 있었는데 다행이다 ㅠ

2주나 지나버렸지만 일단 생각나는대로 적어보겠다.


▶ 실기 프로그램

Autodesk - Revit 2022 (한글버전)
Autodesk - Navisworks 2022 (한글버전)


▶ 실기 제공 자료

7~9장 문제별 상세 사항 (7문제)

※ 총 7개 문항에 따른 상세 지시 사항이 표기된 문제지 제공.

▶ 시험 범위 및 참고 자료

https://www.bimkorea.or.kr/board/read.jsp?id=823&code=bimpds


한국BIM교육평가원이 제공하는 출제기준을 참고하면 된다.
실기는 다른 년도꺼말고 최신 자료를 보자.
한솔아카데미 측에서 예전 자료는 최근 시험과 관계 없다고 공식적으로 답변 하였다.
필기는 년도와 상관 없이 Revit, Navisworks 부분을 다 보는게 좋다.


https://www.bimkorea.or.kr/board/read.jsp?id=823&code=bimpds

이러한 형식의 문제지가 7~9장 정도 문제별로 제공된다. 순서대로 차근차근 진행하면 된다.

● 필기
필기는 예전에 본 BIM 테크니션과 비슷한 유형의 문제들이 나왔다.
마찬가지로 한국BIM교육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시험문제 예시들을 보면 좋다.
필기는 예전자료도 참고하는걸 추천한다. 문제 유형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공부가 된다. 간혹 Revit과 Navisworks와 관계 없는 문제들이 보일텐데, 신경 쓰지 말고 넘어가자. 어차피 안나온다.

적당히 제공된 예시문제를 다 보았다면 60점은 가뿐하게 넘길 것이다.
크게 부담 가질 필요는 없다.

한솔아카데미에서 온라은 교육을 80% 이상 수료하면 필기전형을 면제 받을 수 있다.
근데 이 교육이 220,000원이나 하기 때문에 선택은 본인 몫.

● 실기
실기는 BIM 테크니션 시험과 사뭇 다르다.
일단 시험시간이 4시간이나 되고 문제가 7가지나 된다.
정확한 순서는 기억이 나질 않는데 대략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왔다.

프로젝트 구축, 구조 모델링, 건축 모델링, 보행시선, 렌더링, 도면 작성
NFC NFD 파일 작성, 관측점, 공정 데이터

시험을 치면서 이 사람들 책 팔려고 작정을 했구나 싶었다.
그도 그럴게, 시험 내용이 한솔 아카데미에서 출판한 [BIM 운용전문가 2급자격 (건추실무자를 위한)] 이란 책에서 그대로 나왔다.
시험 치기 전에 책을 잠깐 살펴볼 기회가 있었는데,
그 때 본 구조, 건축 도면이 그대로 나왔다.
물론 그냥 그대로 나왔다는 것만 알았지 도면을 제대로 볼 줄 몰랐기 때문에 내 실기 점수가 저 모양이다 ㅎㅎ
연습 때 책을 봤으면 실기는 어렵지 않을 것 같다.

2번 문제가 구조 모델링이었는데, 도면과 상세 스펙이 적힌 문제지를 보고 모델링을 하라고 했다. 그런데 3번 문제가 2번에서 만든 구조 모델링을 링크하여 건축 모델링을 하는 거였다. 그대로 건축 모델링은 말아먹었다. 구조 모델링 부터 제대로 못해서🤗

여유가 된다면, 그리고 시험을 반드시 합격하고 싶다면 책을 구매하는 것도 추천!
온라인 교육을 수강할 예정이라면 책을 구매할 테니
반복해서 연습하면 실기도 무난하게 합격할 수 있을 것이다.


8월 14일 토요일, 내일은 수시 2회차 BIM운용전문가 2급 필기 + 실기 시험이 있다.

BIM운용전문가2급 시험 일정

한국BIM교육평가원 (한국BIM학회, 한솔아카데미 공동주관)에서 주관하는 시험으로,
이전에 본 빌딩스마트협회의 자격과 유사하다.

얼떨결에 BIM 관련 민간 자격 시험을 두번이나 보게 되었다.


BIM은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의 생애주기 동안에 생성되고 관리되는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디지털 모델을 말한다.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BIM 적용 가이드에서는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개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시설물 수명 주기 동안 의사결증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절차를 포함하여 지칭한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에따라 한국BIM교육평가원은 BIM을 활성화하기 위해 관련 교육의 제공과 BIM 활용 역량을 객관적으로 인정해줄 만한 자격증을 신설하였다.


▶ BIM운용전문가

공사 프로젝트의 BIM 업무수행 및 계획수립이 가능하며, 각 단계별 · 분야별 업무 프로세스 설정, 정보의 구축 및 참여자간의 협업 · 커뮤니케이션을 종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BIM Model 구축과 관리에 관한 실무 역량을 갖춘 전문가를 말한다.
<한국BIM교육평가원, https://www.bimkorea.or.kr/bimedu/index.jsp>

▶ 응시자격 (2급 기준)

① 2년제 또는 3년제의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
② 4년제 이상 관련학과 대학졸업자
③ 학회에서 인정하는 BIM 관련 교육을 받은 4년제 이상의 관련학과의 졸업예정자
④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의 2년 이상 실무 종사한 자
⑤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자
⑥ 학회 또는 아카데미에서 인증하는 BIM운용전문가 2급 관련 교육을 수료한자

※ "관련학과"란 건축분야, 토목분야, 플랜트분야, 도시계획분야, 실내 인테리어 분야 등 BIM 관련 교과목이 운영되는 관련 학과를 말한다.

시험시간 (수시 2회 기준)

* 필기 (60분)
11:00 ~ 12:00

* 실기 (4시간)
09:30 ~ 13:30 : 1부
14:30 ~ 18:30 : 2부

※ 동영상강의로 2급 교육을 수료(80% 이상)한 경우 BIM운용전문가 2급 필기시험을 면제. (수강료 220,000원)

▶ 검정 주요내용 (2급 기준)

필기 [50문항]
1. BIM 저작 도구 일반사항
2. BIM 건축, 토목 모델링 관리 일반사항
3. BIM 건축, 토목 모델링 구축 및 활용 일반사항
4. BIM 데이터 납품 일반사항

실기
1. 초기 계획 건축, 토목 BIM Model 구축
2. 초기 계획 건축, 토목 BIM Model 구체화
3. 건축, 토목 BIM Model 구축
4. 건축, 토목 BIM Model 활용
5. 성과물 제출

※ 필기, 실기 각 시험은 100점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합격.

▶ 실기 프로그램

Autodesk - Revit 2017
Autodesk - Navisworks (버전 정보 미확인)


▶ 검정수수료 (2급 기준)

필기 : 25,000원
실기 : 50,000원

시험 후기는 결과 31일 결과가 나오면 올릴 예정.

BIM 테크니션 합격했다!

7월 17일에 본 BIM 테크니션 (필기 + 실기) 시험에서 91.5점으로 합격했다.

100점 60점 이상이면 합격인데, 생각보다 높은 점수에 놀랐다.

 

자격증 발급신청 링크로 들어가면 몇가지 기재사항을 입력하고 시험응시자격 증빙서류를 첨부해야한다.

응시자격은,

- [BIM테크니션] 관련학과 전문학사 졸업 예정자 이상
- [BIM테크니션] 관련 경력 3년 이상
- [BIM테크니션] BIM모델러 취득자

나는 여기서 관련학과 졸업 예정자로 서류를 제출하였다. 굉장히 모호한 표현이지만 대충 공과대학 학생이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러고 응시자격이 안된다고 떨어지면...

아무튼 빌딩스마트협회에서 발급하는 자격증은 '파일형 자격증'을 원칙이라고 한다. 아마도 문자의 링크로 신청하는 자격증은 파일형을 말하는 것 같다.

인쇄형 자격증은 문의를 달라고 하는데,

무려 수수료가 10,000원 이다.

 

응시료로 75,000원이나 가져갔으면 무료는 아니더라도 조금 더 저렴하게 해주지

그래서 신청 안했다.😊

 

어쨌든 이렇게 BIM테크니션 시험에 합격했으니

다음 시험은 BIM코디네이터로 준비하려고 한다.

9월쯤에 BIM운용전문가 2급 시험도 있으니 그것도 화이팅 해본다.

 

오늘은 BIM 테크니션 시험을 보고 왔다.

아침 9시부터 시험이여서 8시에 출발.

맑은 하늘에 지하철을 타러 가는 길이 엄청 더웠다.

Fig.1 한국디지털 교육원 <네이버 거리뷰>


시험 장소는 한국디지털교육원.
양재역 2번 출구로 나와서 5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외관으로 보면 어딘지 잘 모르겠지만,
출입구에 BIM 시험장이라고 A4 출력물을 붙여놓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75,000원이나 내고 보는 시험인데 입간판 하나 없다는게 조금 아쉽다...

10분 정도 전에 도착해달라고 안내가 있었지만 딱히 상관은 없는 것 같다.
9시 전에만 늦지 않게 도착하면 된다.


▶ 시험 시간

09:00 ~ 10:00 : 필기 (60분)
10:30 ~ 12:30 : 실기 (120분)


▶ 응시관련 유의사항

인정 신분증 미 지참 시 시험 응시 불가(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별도 수험표 출력은 필요 없음 (수험번호는 "생년월일_이름")
필기시험 답안지 작성을 위한 검정색 필기구를 지참(수성사인펜, 볼펜 등 무관)
필기시험 답안지 수정은 수정테이프를 사용, 감독관이 제공


▶ 시험 범위

필기 : [25문항]
BIM 등장배경, BIM 설계 업무 절차, BIL, LOD,
설계 단계, BIM 모델 활용 방법 등 BIM 전반 (Revit 위주)

실기 : [1층 주택 모델링 1개 (시트, 일람표, 렌더 등) ]
상세 모델링 정보 시트 제공

※ 필기, 실기 각 시험은 100점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합격.

▶ 실기 프로그램

Autodesk - Revit 2022 (한글버전)

※ Navisworks는 사용하지 않음.

▶ 실기 제공 자료

건축 도면 - 3장
평면도 (1층 평면도)
입면도 (남측면도, 동측면도)
단면도(1층 평면도에서 위치 확인)
상세 모델링 정보 - 2장
외벽, 내벽
구조 바닥, 바닥 마감, 구조 기초
벽 마감


치수
렌더링, 시트, 일람표 상세 정보 - 1장
카메라 설정하여 렌더링 (품질: 중간, 출력 해상도: 화면, 조명: 외부-태양만) 이후 프로젝트에 저장
1층 평면도 (A3), 남측면도+동측면도 입면도 (A3), 단면도(A3)
벽 일람표, 구조 기초 일람표 작성 (설정할 필드 3개 정도, 정렬/그룹화, 형식)

필기
필기는 무난하게 BIM에 대한 기본을 다룬다.
빌딩스마트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는 BIM 자격시험 공개문제에서 동일하거나 비슷한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다.

Fig.2 (사)빌딩스마트협회 BIM 자격시험 공개문제 <https://www.buildingsmart.or.kr/Home/TestInfo>

설마 싶었는데 오늘 시험도 이와 같이 황당한 문제가 다수 출제 되었다.
BIM 운용 전문가 자격을 주관하는 BIM학회의 한국BIM교육평가원에서도 공개 문제를 제공하는데, 그걸 참고해도 좋다.
아래는 한국BIM교육평가원의 공개 자료 링크.
<https://www.bimkorea.or.kr/board/index.jsp?code=bimpds>

크게 부담 가질 필요는 없는것 같다.


● 실기
실기는 건축 모델링을 하고, 부수적인 요구 사항을 해결하는 시험이다.
오늘 시험에는 (방 2, 거실 2, 주방 1, 욕실 1, 창고 1) 로 구성된 1층 짜리 주택을 모델링해야 했다.

처음 자료를 받으면 긴장하지 말고 차분하게 읽어보자.
Revit을 써보았다면 다 아는 내용들이고, 모르겠더라도 프로그램 내부에서 찾아가며 해결하면 된다.
2시간이나 있으니 시간은 충분할 것이다.

내가 실기를 진행한 순서는 이렇다.

1. 자료 숙지
2. 레벨, 그리드 설정
3. 외벽, 내벽 모델링 + 다른 모델링
4. 평면도 치수 작성
5. 3D 렌더링
6. 시트 작성
7. 일람표 작성


다른건 몰라도 그리드(Grid)는 무조건 설정 하고 모델링으로 넘어가는 것을 추천한다.
애초에 Revit 자체가 레벨과 그리드, 참조평면 없이는 사용이 어려운 만큼 초반에 잘 설정해 두면 모델링에 드는 시간이 비약적으로 단축된다.

제공되는 평면도에 외벽 간격 치수가 제공되므로 이를 바탕으로 그리드를 구성하자.
나중에 모델링한 평면도에서 치수 작성에도 큰 도움이 된다.


시험 결과는 26일 발표. 개별문자로 알려준다고 한다.
과연 어떻게 되었을지는 9일 뒤에나 알 수 있다.
제발 붙었으면!


해당 포스팅이 문제가 있을 시 삭제 및 수정 하겠습니다.

Fig.1 Revit 연습

7월 17일 토요일에 21년도 1회차 BIM 테크니션 시험이 있어 준비 중 입니다.

 

BIM은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의 생애주기 동안에 생성되고 관리되는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디지털 모델을 말합니다.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BIM 적용 가이드에서는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개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시설물 수명 주기 동안 의사결증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절차를 포함하여 지칭한다.' 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Fig.2 BIM 테크니션 개요 &lt;https://www.buildingsmart.or.kr/Home/Education&gt;


BIM 테크니션은 빌딩스마트 협회에서 주관하며,

대표적인 BIM 소프트웨어인 Revit과 Navisworks를 활용한 시험으로 BIM 실무 관리를 위한 자격 시험입니다.

BIM 모델러 → 기능사
BIM 테크니션 → 산업기사
BIM 코디네이터 → 기사
BIM 매니저 → 기술사


이런 느낌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FIg.3 BIM 테크니션 자격시험 일정 &lt;https://www.buildingsmart.or.kr/Home/TestInfo&gt;&nbsp;


올해는 3회차 까지 시험이 있다고 하네요.

사전 접수를 받아 원서 접수 일정이 발표되었을 때, 신청자에게는 개별적으로 메일이 왔습니다.

Fig.4 BIM 자격시험 접수안내 메일
Fig.5 BIM 자격시험 응시료 &lt;https://www.buildingsmart.or.kr/Home/TestInfo&gt;


응시료는 테크니션 기준,
필기 - 25,000원
실기 - 50,000원 입니다.

교육을 통해 Revit과 NavisWorks 공부를 하였고, 이렇게 시험까지 쳐보게 되네요.

정보가 많이 없어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어떻게든 잘 보고 오겠습니다.

1. 다음 중 출력결손을 계산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반응도계수가 아닌 것은?

    ① 핵연료 온도계수

    ② 기포 계수

    ③ 미분제어봉가

    ④ 감속재 온도계수

 

<풀이>

출력결손은 정상 운전 시 부반응도로 인한 출력의 감소를 말한다. 반응도계수란 어떤 반응에 의해 일어난 현상이 그 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이다.

핵반응으로 인해 노내의 온도 변화가 핵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나타내는 것이 온도계수이다. 온도계수가 (+)라면 노심의 온도가 상승하고 핵반응이 촉진된다. (-)는 그 반대이다. 이러한 온도계수에는 ① 핵연료 온도계수, ④ 감속재 온도계수가있다. 노심의 온도 상승으로 냉강재가 기화하면 기포가 발생한다. 원자로에서 기포율의 변화는 통상 원자로의 반응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수증기의 밀도는 액체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이며 이 정도를 ② 기포 계수로 나타낸다.

 

③ 미분제어봉가는 ∆ρ/∆x 로 정의된다. ∆x 는 노심 상부에서 노심 내부로 삽입되는 제어봉의 삽입량의 변화이고, ∆ρ 는 반응도의 변화이다. 미분제어봉가는 정상 운전 시가 아니므로 출력결손과는 무관하다.

 

부반응도: k가 1보다 작고 ρ가 임수일 때의 반응도를 부반응도(negative reactivity)라고 함.

 


 

2. 미임계 원자로에서 미임계증배계수(M)와 유효증배계수(K_eff)의 관계를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① M = 1 / (1 + K_eff)

    ② M = 1 / (1 - K_eff)

    ③ M = (1 + K_eff) / K_eff

    ④ M = (1 - K_eff) / K_eff

 

<풀이>

원자로는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도 중성자가 여전히 존재하며, 핵연료와 상호 작용을 한다. 따라서 항상 적은 수의 핵분열이 발생한다. 유효증배계수(k_eff)가 1 미만일때, 원자로는 미임계 상태이다. 이때의 미임계증배계수는 ② 1 / (1 - K_eff)로 구할 수 있다.

 


 

3. 원자로 출력은 유효증배계수(k_eff)를 변화시켜 조절한다. 유효증배계수와 관련한 여섯가지 인자 중에서 어느 인자를 조절하는 것이 가장 용이한가?

    ① 열중성자 이용계수(thermal utilization factor)

    ② 공명이탈확률(resonace escape probability)

    ③ 열중성자 비누설확률(thermal neutron non-leakge probability)

    ④ 속분열계수(fast fission factor)

 

<풀이>

중성자 누설을 고려한 증배계수를 유효증배계수(effective multiplication factor)라고 한다. 수식은 다음과 같다.

K_eff = ε·p·f·η·(L_f)·(L_th)

ε: 속분열계수(fast fission factor)

p: 공명이탈확률(resonace escape probability)

f: 열중성자 이용계수(thermal utilization factor)

η: thermal fission factor

L_f, L_th: 비누설확률(non-leakage probablity)

 

이 6가지 인자 중에서 운전 중 조절이 가능한 것은 ① 열중성자 이용계수(thermal utilization factor)이다. 제어봉이나 CVCS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4. U-235의 거시적 핵분열단면적은?

단, U-235의 밀도 = 18.9 g/cm^3, U-235의 미시적 핵분열단면적 = 580 barn 이다.

    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