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 구조물 모델링 2일차.

저번주에 진행했던 모델링에서 H-Bracing, V-Bracing을 추가하였다.
Bracing(브레이싱)은 '능구'라고도 하며, 하중에 저항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지지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와 거더간의 하중 불균형을 해소하고, 교량 전체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도 한다.


H-Bracing을 처음 모델링 할 때 브레이싱의 기준점을 거더와 빔의 상단으로 설정하여 계획 높이보다 높게 모델링 되었다. 이를 수정하기 위해 브레이싱의 End나 Start 포인트를 선택하여 Properties를 들어간다. Z Offset을 원하는 대로 설정하면 위 이미지와 같이 EL값이 수정된다.


V-Bracing도 모델링 하였다. Place Bracing 아이콘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위 이미지와 같은 아이콘 서랍이 열린다. 여기서 3번째 아이콘을 클릭하면 교차된 V-Bracing을 모델링 할 수 있다. Chevron으로 V자형 브레이싱을 모델링 해보았다. 적절히 Cardinal Point, Angle, Reflect를 설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모델링한다.

작업발판이자 바닥인 Slab(슬랩)을 추가로 모델링하고, 사다리와 헨드레일을 모델링하는 방법을 배웠다. 슬랩에 구멍을 뚫는 Opening의 사용법도 알게 되었다. 흥미로운 것은 슬랩을 모델링할 때 바운더리 오프셋 조건을 3가지로 줄 수 있다는 것이었다.



바운더리 조건에 따라 슬랩의 모델링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랩은 3번째 이미지처럼 Beam을 완전히 가리는 형태로 설치된다고 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이러한 설정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모델링을 진행하는 것 같다.
오늘 배운 것.
1. Column, H-Bracing, V-Bracing을 모델링 할 수 있다.
2. Slab, Ladder, Handrail을 모델링 할 수 있다.
'Chapter 4. 프로그램 > SmartPlant 3D (S3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3D | Structural Modeling - Architecture (2) [21.07.28.] (0) | 2021.07.29 |
---|---|
S3D | Structural Modeling - Architecture (1) [21.07.27.] (0) | 2021.07.27 |
S3D | Structural Modeling - Civil (1) [21.07.23.] (0) | 2021.07.23 |
S3D | HVAC Modeling [21.07.22.] (0) | 2021.07.23 |
S3D | Piping Modeling (7)_Support, Orifice Plate [21.07.21.] (0) | 2021.07.21 |